
● 디렉토리 - 파일을 하나의 공간에만 보관하면 파일의 수가 많아질수록 복잡도도 증가한다. - 그렇기에 관련 있는 파일을 모아둘 수 있도록 디렉토리가 등장했다. - 디렉토리는 1개 이상의 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자식 디렉토리도 가질 수 있다.(디렉토리 안에 디렉토리) - 디렉토리는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데 최상위에 있는 디렉토리를 루트 디렉토리라고 부른다. - unix, linux의 경우 루트 디렉토리를 "/"로 표시, 디렉토리 간 구분도 "/"를 사용 - window의 경우 루트 디렉토리는 파티션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보통 C: 으로 표시한다. - window의 디렉토리 간 구분에서는 "\"를 사용한다. - 디렉토리라고 해서 파일과 구조가 다른 것은 아니다. 디렉토리도 파일이다. - 단지 일반 파일에는 데..

● HDD 구조 - 블록 디바이스의 한 종류인 하드디스크(HDD)에 대해 알아보자 - 하드디스크에는 스핀들(spindle)이라고 하는 막대가 있으며 여기에 플래터(platter)라는 자기화된 원판들이 붙어있다. -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의 플래터 수는 2개 이상이다. - 동심원 구조인 플래터는 여러 개의 트랙(track)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트랙은 다시 여러 개의 섹터(sector)로 나뉘는데 이 섹터가 HDD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. - 디스크암(disk arm)에 달려있는 읽기/쓰기 헤드(read/write arm)를 이용해 플래터의 표면을 읽는다. - 플래터를 구성하는 트랙의 표면에는 자성이 있기 때문에 표면이 N극을 띄면 0, S극을 띄면 1로 인식한다. - 읽기/쓰기 헤드는 디스크암에 고정되어 있기..

● 마우스 - 예전에는 마우스 안에 계란 노른자가 있었다. 이를 볼 마우스라고 하는데 마우스를 움직이면 밑에 있는 볼이 회전을 하게되고 이 회전을 감지해서 움직임을 처리하는 방식이었다. - 요즘의 마우스는 대부분 광학 마우스이다. - 광학 마우스 밑에는 작은 카메라가 달려 있는데 이 카메라가 표면으로 초당 1500회가 넘는 사진을 찍어 마우스의 디바이스 컨트롤러 내의 DSP(Digital Signal Processor)로 보낸다. - DSP는 받은 사진을 분석해 마우스의 X축 좌표와 Y축 좌표 움직임을 캐치한다. - DSP가 마우스의 움직임, 클릭 같은 데이터를 감지하면 디바이스 컨트롤러는 CPU에게 인터럽트를 보내고 마우스 드라이버가 동작해서 데이터를 읽어간다. - 그러면 마우스 드라이버는 운영체제에게..

2023.02.12 - [운영체제] - #3 컴퓨터 하드웨어와 구조(feat 폰 노이만 구조) #3 컴퓨터 하드웨어와 구조(feat 폰 노이만 구조) ● 프로그램 내장방식 - 오늘도 나는 폰 공부를 한다. - 예전에는 ENIAC(애니악)과 같이 하드웨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만들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달라질 때마다 매번 스위치와 배선의 위치를 radderveloper.tistory.com ● 도입 - 주변장치에는 그래픽카드, 하드디스크, SSD, 키보드, 마우스 등 여러가지가 있다.(아래는 주변장치의 내부구조) - 주변장치들은 메인보드에 있는 버스로 연결되며 각 하드웨어에 맞게 외부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. - 또한 장치의 상태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레지스터들이 존재한다. - 레지스터들은 입출력 ..

2023.02.12 - [운영체제] - #3 컴퓨터 하드웨어와 구조(feat 폰 노이만 구조) #3 컴퓨터 하드웨어와 구조(feat 폰 노이만 구조) ● 프로그램 내장방식 - 오늘도 나는 폰 공부를 한다. - 예전에는 ENIAC(애니악)과 같이 하드웨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만들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달라질 때마다 매번 스위치와 배선의 위치를 radderveloper.tistory.com 2023.02.21 - [운영체제] - #6 유니프로그래밍, 멀티프로그래밍, 멀티프로세싱 #6 유니프로그래밍, 멀티프로그래밍, 멀티프로세싱 2023.02.18 - [운영체제] - #5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#5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● 도입 프로그램이란? -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 장치(HDD, SSD)에 저장된 명령문의 집..

● 도입 - 컴퓨터에는 여러 종류의 메모리가 있다. -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는 왜 여러 종류의 메모리가 필요하며 각각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● 메모리 - 위의 그림은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메모리들을 보여준다. - (左 → 右) 갈수록 가격은 싸지고 용량은 커지지만 속도는 느리다. 1. 레지스터 - 레지스터는 가장 빠른 기억장소로 CPU 내에 존재한다. - 컴퓨터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라고 부른다. - CPU를 구분할 때 32bit, 64bit 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레지스터의 크기가 32bit와 64bit 라는 것을 의미한다. - 32bit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으면 32bit CPU / 64bit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으면 64bit CPU 라고 한다. - CPU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DART
- jpa
- MongoDB
- Advanced Stream
- SpringBoot
- Phaser3
- Phaser
- SQL
- 코딩테스트
- 빅데이터 분석기사
- 알고리즘
- 메모리
- API
- 빅데이터
- node.js
- Spring Boot
- Java8
- spring
- java
- 프로그래머스
- 자료구조
- git
- 프로세스
- Stream
- MySQL
- 코테
- nosql
- 운영체제
- OS
- db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