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48hGZ/btrRitKigjH/BiKXpBImZwG2WllJI1Bki0/img.png)
● git stash : 코드 잠깐 다른 곳에 보관하기 - 쓰레기 코드를 짜버렸다. - 이 쓰레기를 잠깐 치워놓고 개발하고 싶으면 주석 처리해도 되지만 git stash 명령어를 이용해 잠깐 코드를 치울 수 있다. - 파일(git-stash.txt)을 하나 만든 후 commit 했다. - 그 후에 위 사진과 같이 내용을 또 추가했다. commit은 아직 하지 않은 상태이다. - 근데 새로 추가한 코드가 마음에 들지않는것이다. 이것을 잠깐 삭제하고 싶으면 git stash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. git stash git stash save "stash 내용 메모" --> git stash 할 때 메모도 함께 입력할 수도 있다. - 위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방금 작성한 코드는 잠깐 다른 공간에 보관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FYAH/btrRcOai1cE/bGvFgjNAJPkG5GSxlF9EDk/img.png)
- branch를 너도 나도 만들어서 아무렇게나 사용하면 개발 과정이 복잡해지고 추적도 어렵다. -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git branch를 깔끔하게 만들도록 도와주는 방법론이 여러개 있다. - git flow, github flow, gitlab flow, trunk-based 등이 그것이다. -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면 branch 관리가 쉬워지고 협업 인원이 아무리 많아도 개발 절차가 매끄러워진다. - 특히 PL, PM 직책이 알면 좋다. ● git flow : 안정적인 운영이 필요할 때 - 현재 만들고 있는 프로그램이 항상 안정적인 release를 해야한다면(ex. 게임 개발) git flow 전략을 사용하면 된다. - git flow 전략은 크게 5개의 branch를 운영한다. 1. ma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Ng95m/btrQZ3sZCPR/CqPTaykVjfukIbNk2QCKW1/img.png)
● 원격 저장소에서 branch 만들기 - 새로운 기능을 만들고 싶을 때 겂도 없이 main branch에서 바로 코드를 짜면 안 된다. - 새 branch를 만든 후 거기에서 개발하는 것이 안전하다. branch를 생성하려면 2가지 방법이 있다. 1. github.com에서 branch를 직접 만든다.(= remote repository 에서도 branch를 만들 수 있다.) 2. local repository에서 만든 branch를 remote repository에 올리는 식으로도 branch 생성이 가능하다. 1. github에서 직접 branch 만들기 - 위 사진과 같이 main branch 버튼을 누르면 branch를 바꾸거나 새로 만들 수 있다. 2. local repository에서 bra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FwXR/btrQZy7hmkp/XFK6BlQKZKfXYdkwGJCEZ0/img.png)
● git clone - 원격저장소의 장점은 다른 사람과 협업할 수 있다는 것이다. - 일이 너무 많아 다른 사람 1명을 구해 같이 작업을 한다고 해보자 - 이때 새로온 사람이 내가 작업하던 기존의 소스코드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? 1. github.com 가서 직접 다운받아도 되고 2. git clone 원격저장소주소 → 새로운 작업폴더에서 해당 명령어를 이용해 소스를 받으면 된다. - 그러면 원격 저장소에 있던 내용을 그대로 받을 수 있다. - git clone 명령어를 이용했더니 remote repository에 있던 소스가 다운받아졌다. cf) 필요에 따라 특정 브랜치 1개만 clone 할 수 있다.(필요하면 찾아보기) - 이제 새로온 사람도 코드를 짜서 commit 하고 git push 하면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2iQY/btrQVz4EcgF/OIKHXlVTn7UcGh5gxak7s0/img.png)
● repository(저장소)? - git 프로그램이 파일의 버전을 저장해두는 장소를 repository라고 한다. - 로컬 작업폴더를 보면 .git 폴더가 있는데 그게 repository 이다. - 실제 개발에서는 온라인 repository를 많이 사용하는데 쉽게 말해 내 컴퓨터에 만들어 놓은 git repository를 온라인으로 저장해두는 것이다. - 온라인 repository를 사용하면 다른 사람과의 협업도 가능하다. - github.com에서 온라인 repository 하나 만들어보자 ● github에서 remote repository(원격 저장소) 만들기 - 원격 저장소를 제공해주는 github에서 원격 저장소를 하나 만들어보자 - 로그인 후 우측 상단의 +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reposi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Phaser3
- 자료구조
- OS
- 빅데이터 분석기사
- db
- SQL
- 프로그래머스
- jpa
- 프로세스
- MongoDB
- git
- Phaser
- 코테
- 알고리즘
- Stream
- Spring Boot
- nosql
- 빅데이터
- spring
- SpringBoot
- 운영체제
- API
- Advanced Stream
- 코딩테스트
- DART
- MySQL
- Java8
- node.js
- 메모리
- java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