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● 도입 - 함수가 1급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함수를 object 형태로 나타내야한다. -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java의 Function Interface이다. - 핵심 : 함수를 object 형태로 나타내보자 프로그래밍에서 1급 시민의 조건 1. 함수/메서드의 매개변수(parameter)로서 전달할 수 있는가 2. 함수/메서드의 반환값(return)이 될 수 있는가 3. 변수에 담을 수 있는가 ● Function Interface - 위의 interface 중에서 Function이라는 Interface에 대해 알아보자 // Function interface는 아래와 같이 생겼다. @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Function { R apply(T t); //..
● 도입 - 지금까지 나는 OOP 방식으로 java 프로그래밍을 해왔다.(사실 배운게 이거 밖에 없다.) - 즉, 비즈니스 요구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모든 것을 '객체로 추상화'한 다음에 풀이해 왔다는 것이다. - 이러한 기존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자 ●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? -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OOP(객체지향) 프로그래밍과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다르다. - 아래의 글에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Java에서 함수의 작명은 insertUser, deleteName과 같이 '동사형'으로 짓는다. 객체의 작명은 UserName, ProductPrice와 같이 '명사형'으로 짓는다. 명령형 프로그래밍(Imperative Programming) - OOP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- How t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db
- SQL
- SpringBoot
- 메모리
- Stream
- 알고리즘
- 자료구조
- Spring Boot
- API
- node.js
- java
- MongoDB
- 프로세스
- 프로그래머스
- Phaser3
- Phaser
- spring
- nosql
- 빅데이터 분석기사
- Java8
- 운영체제
- DART
- 코딩테스트
- jpa
- 코테
- MySQL
- 빅데이터
- git
- OS
- Advanced Stream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