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● 도입 - 파일 시스템은 메모리와 비슷하다. - 페이징(고정 분할 방식)과 같이 전체 디스크 공간을 일정한 크기로 나누고 그 공간에 주소를 할당해 관리한다. - 일정한 크기로 나눈 공간을 메모리에서는 페이지라고 부르고 파일 시스템에서는 블록이라고 한다.(한 블록의 크기는 1~8kb) - 파일 시스템은 파일 정보를 파일 테이블로 관리하는데 여기에는 파일이 시작하는 블록의 위치 정보도 담겨있다. - 하나의 파일은 여러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블록들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연속 할당과 불연속 할당으로 나눌 수 있다. ● 연속 할당과 불연속 할당 1. 연속 할당 - 파일을 구성하는 블록들을 디스크에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방식 - 파일의 시작 블록만 알면 파일의 전체를 찾을 수 있다. - 메모리의 ..

● 파일시스템(파일관리자) - 파일들은 HDD, Flash Memory(SSD)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된다. - 메모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파일을 HDD, SSD에 직접 저장 하게되면 중요 정보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OS를 통해 요청하면 이를 OS가 안전하게 저장해준다. - OS는 파일 관리를 위해 파일관리자를 두었는데 이를 파일시스템이라고 한다. - 파일관리자는 파일 테이블을 이용해서 파일을 관리한다. - 이전 글에서 주변장치는 캐릭터 디바이스와 블록 디바이스로 구분한다고 했다.(HDD, SSD는 블록 디바이스) - 파일시스템은 HDD, SSD 같은 저장 장치에 파일을 저장하기 때문에 당연히 전송 단위가 블록이다. - 전송 단위는 블록이지만 사용자는 바이트 단위로 파일에 접근이 가..

● 디렉토리 - 파일을 하나의 공간에만 보관하면 파일의 수가 많아질수록 복잡도도 증가한다. - 그렇기에 관련 있는 파일을 모아둘 수 있도록 디렉토리가 등장했다. - 디렉토리는 1개 이상의 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자식 디렉토리도 가질 수 있다.(디렉토리 안에 디렉토리) - 디렉토리는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데 최상위에 있는 디렉토리를 루트 디렉토리라고 부른다. - unix, linux의 경우 루트 디렉토리를 "/"로 표시, 디렉토리 간 구분도 "/"를 사용 - window의 경우 루트 디렉토리는 파티션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보통 C: 으로 표시한다. - window의 디렉토리 간 구분에서는 "\"를 사용한다. - 디렉토리라고 해서 파일과 구조가 다른 것은 아니다. 디렉토리도 파일이다. - 단지 일반 파일에는 데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Phaser3
- 알고리즘
- DART
- jpa
- 메모리
- db
- Phaser
- node.js
- SQL
- SpringBoot
- 운영체제
- java
- API
- 프로그래머스
- Spring Boot
- 빅데이터
- MySQL
- OS
- git
- Java8
- 프로세스
- 자료구조
- 코테
- Advanced Stream
- spring
- MongoDB
- Stream
- nosql
- 코딩테스트
- 빅데이터 분석기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