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● 인터넷 통신
- 클라이언트는 한국에 있고 서버는 미국에 있다고 해보자
- 이때 (클라이언트 컴퓨터 - 서버 컴퓨터)를 이어주는 것이 인터넷이다.
- Web, HTTP 모두 인터넷 네트워크 망에 기반해서 동작한다.
- (한국 → 미국)으로 텍스트 메세지를 보낸다고 했을 때 인터넷 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보내야 한다.
- 이때 송신되는 데이터는 수 많은 중간 노드(서버)들을 거쳐서 안전하게 전달돼야 한다.
ex) 해저 케이블을 거치고, 인공위성을 거치는 등

그렇다면 과연 어떤 규칙으로 어떻게 넘어가는 것일까?
● IP(Internet Protocol)
- 이것을 알기 위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지식이 바로 IP(Internet Protocol) 이다.
[IP의 역할]
1. 지정한 IP 주소(IP Address)에 데이터 전달
2. 패킷(Packet)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
[IP의 한계]
1. 비연결성
-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or 통신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
2. 비신뢰성
-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면?
- 복수의 패킷을 보냈을 때 그것들이 순서대로 안오면?(패킷이 순서대로 안 오면?)
3. 프로그램 구분
-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이라면?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운영체제
- API
- 빅데이터
- 프로세스
- Spring Boot
- MongoDB
- SpringBoot
- nosql
- Advanced Stream
- 코테
- MySQL
- OS
- java
- 프로그래머스
- node.js
- jpa
- 메모리
- Phaser3
- 빅데이터 분석기사
- 코딩테스트
- 자료구조
- Phaser
- 알고리즘
- spring
- SQL
- DART
- Stream
- db
- Java8
- gi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