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● 인터넷 통신

- 클라이언트는 한국에 있고 서버는 미국에 있다고 해보자
- 이때 (클라이언트 컴퓨터 - 서버 컴퓨터)를 이어주는 것이 인터넷이다.
- Web, HTTP 모두 인터넷 네트워크 망에 기반해서 동작한다.

 

- (한국 → 미국)으로 텍스트 메세지를 보낸다고 했을 때 인터넷 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보내야 한다.

- 이때 송신되는 데이터는 수 많은 중간 노드(서버)들을 거쳐서 안전하게 전달돼야 한다.

ex) 해저 케이블을 거치고, 인공위성을 거치는 등

인프런 -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(김영한)

그렇다면 과연 어떤 규칙으로 어떻게 넘어가는 것일까?

 

● IP(Internet Protocol)

- 이것을 알기 위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지식이 바로 IP(Internet Protocol) 이다.

[IP의 역할]
1. 지정한 IP 주소(IP Address)에 데이터 전달
2. 패킷(Packet)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

 

[IP의 한계]
1. 비연결성
-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or 통신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

2. 비신뢰성
-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면?
- 복수의 패킷을 보냈을 때 그것들이 순서대로 안오면?(패킷이 순서대로 안 오면?)

3. 프로그램 구분
-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이라면?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