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● 반복문
- if 문과 마찬가지로 반복문도 들여쓰기를 해야한다. 안 하면 오류 발생함
- 반복문 마지막에 콜론(:)을 반드시 넣어야 하는 것을 까먹지 말자
1. 가장 기본적인 반복문
# 5부터 10'미만'까지 반복
for i in range(5, 10):
print(i); # 들여쓰기 해야한다.
print('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');
# 0부터 5'미만'까지 반복
for i in range(5):
print(i);

2. 리스트 반복
# 2. 리스트 반복
list = [2, 4, 6, 8, 10];
for i in list:
print(i);
print('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');
for i in list:
print(i * 2);
print(i * 3);

● 함수
- 함수도 들여쓰기를 해야한다. 안 하면 오류 발생함
- 마지막에 콜론(:)을 반드시 넣어야 하는 것을 까먹지 말자

1. 파라미터, 리턴값 모두 없음
# 함수 정의
def hello():
print("hello Python!"); # 들여쓰기 해야한다.
# 함수 호출
hello();

2. 파라미터 있음, 리턴값은 없음
# 함수 정의
def plus(x, y):
result = x + y;
print(result);
# 함수 호출
a = 99;
b = 1;
plus(a, b);

3. 파라미터, 리턴값 모두 있음
# 함수 정의
def plus2(x, y):
return x + y;
# 함수 호출
c = 100;
d = 99;
sum = plus2(c, d);
print(plus2(c, d));
print(sum);

● 연습
1. 반복문
print("====== 0~4까지 출력 ======");
# 0~4까지 출력
for i in range(5):
print(i);
print("====== 5~9까지 출력 ======");
# 5~9까지 출력
for i in range(5, 10):
print(i);
print("====== 리스트 전체 출력 ======");
list_one = [2, 4, 6, 8, 10];
# 리스트 전체 출력
for i in list_one:
print(i);
print("====== 리스트 각 원소 +1 해서 출력 ======");
# 리스트 각 원소 +1 해서 출력
for i in list_one:
print(i + 1);

- enumerate 함수를 사용해 (인덱스와 원소)를 함께 추출할 수 있다.
- 반드시 (인덱스, 아이템) 순서를 지켜야한다. / 반드시 index 라는 단어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.
print("====== 리스트 전체 출력 ======");
list_two = ["네모", "세모", "마름모"];
for s in list_two:
print(s);
print("====== 리스트에 있는 문자열과 index 값 출력 ======");
# enumerate 함수를 사용해 (인덱스와 원소)를 함께 추출할 수 있다.
# 반드시 (인덱스, 아이템) 순서를 지켜야한다. / 반드시 index 라는 단어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.
for index, item in enumerate(list_two):
print(index);
print(item);
print(list_two[index]);

cf)
- JavaScript의 backtick(Template literals)과 유사하게 출력을 보기 좋게 하는거라고 생각하면 된다.
list_thr = ["네모", "세모", "마름모"];
for idx, item in enumerate(list_thr):
print(f'{idx} : {item}');
print(f'{idx} : {list_thr[idx]}');

2. 함수
- 파이썬은 2개의 값을 리턴할 수도 있다. javascript의 destructuring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.
# 최소, 최대값을 return 해라
list_four = [15, 46, 78, 24, 56];
def min_max(data):
mi = min(data);
ma = max(data);
return mi, ma;
print(min_max(list_four));
print(type(min_max(list_four)));
a, b = min_max(list_four);
print(a, b);
print(f"최소 : {a}");
print(f"최대 : {b}");

cf) 3개 이상도 되는 듯


# 평균을 구하는 함수
list_five = [15, 46, 78, 24, 56];
def avg(data):
return sum(data) / len(data);
print(avg(list_five));

# (최대값 - 최소값) 구하기
list_six = [15, 46, 78, 24, 56];
def subtrck(data):
return max(data) - min(data);
print(subtrck(list_six));

cf) 주피터 노트북에 대해서 알아야 할 사항
[파이썬/코랩] TypeError: 'int' object is not callable
개발 환경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코랩을 사용했다. 주피터 노트북은 한 파일에서 데이터를 썼다 지워도 데이터가 남아있다고 한다. sum()은 예약어인데 이 전 문제에서 변수로 사용하였다. 이전에
y-min.tistory.com
'빅데이터 분석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2 파이썬 기본2 (0) | 2023.09.15 |
---|---|
#1 파이썬 기본1 (0) | 2023.09.12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QL
- DART
- db
- spring
- 코딩테스트
- java
- jpa
- 자료구조
- MongoDB
- 빅데이터 분석기사
- Spring Boot
- Phaser
- Phaser3
- 코테
- 운영체제
- 메모리
- 프로세스
- 알고리즘
- API
- Advanced Stream
- 빅데이터
- Stream
- SpringBoot
- Java8
- 프로그래머스
- MySQL
- OS
- node.js
- nosql
- gi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